반응형

var 는 1995년 부터 2015년도까지 모든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되었음.

let과 const는 2015년부터 추가되었음.



옛날 브라우저에서 동작될 프로그램이라면 var사용하고 그게 아니라면 let으로.



const는 변하지말아야할 상수값만.

가변성이 있다면 let사용.

없이쓰면 아무거나 다 담을수 있지만 명확하지 않으니깐 써주도록 하자.

반응형
반응형
var txt1 = 'abc'
console.log(txt1)

//이렇게 해도 동작함.

//하지만 
var txt1= 'abc' var txt2='def'
console.log(txt1)

//이렇게는 안된다.
//세미콜론을 써야 실행문을 마무리 지을수 있고, 여러개 쓰는게 가능하다.
var txt1= 'abc'; var txt2='def';
//사실 이렇게 거의 쓸일은 없음.

//세미콜론이 필수는 아니지만 권장사항이니깐 쓰도록 하자.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서울 아파트 18% 역전세난 우려
'언제든 계약해지' 계약갱신권이
역전세 리크스를 되레 키울수도

 

일산에 전세를 살고 있는 직장인 이모씨는 최근 같은 동네 구축 아파트로 이사를 가기로 결심했다.

2년전 3억5000만원에 전세계약을 했는데 전셋값이 많이 떨어져서 구축 아파트로 옮기면 2억원대에 살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계약갱신권을 사용한 경우 계약기간이 남았어도 언제든지 이사갈 수 있는 조항이 오히려 이러한 '역전세' 리스크를 더욱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출처 : 

 

“계약갱신권 안써요. 쓰면 바보죠”…전세시장에 무슨 일이 [매부리레터]

서울 아파트 18% 역전세난 우려 ‘언제든 계약해지’ 계약갱신권이 역전세 리크스를 되레 키울수도 “계약갱신권을 왜 써요. 요즘 그거 쓰는 사람이 바보죠.” 일산에 전세를 살고 있는 직장인

n.news.naver.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