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미지 깔쌈하네

Class의 가장 중요한 개념

OOP - Objected Oriented Programming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Class란 무엇인가?

간단하게 비슷한 성격의 또는 기능의 변수와 함수들을 모아놓은것이라 할수있다.

직접 소스로 보면서 해보자. 일단 Class를 하나 선언해보자. (당연히 main 함수 영역 밖이다.)

void main() { 
 
}

//Class의 모든 첫번째 글자는 반드시 대문자로 선언해야 한다.
class Color{
	String name = 'red';
  	void sayName(){
	    //표현방식 1번
	    print('이 색은 red입니다.');	    
        
	    //표현방식 2번
	    print('이 색은 ${this.name}입니다.');
	    
	    
  	}    
}
이 색은 red입니다.

하나의 변수와 단순하게 변수를 print하는 함수를 정의했다.

(표현방식 1,2를 나눈것은 참고용으로)

현재 티스토리 코드블럭 기능에서는 Dart컴파일러와 같은 하이라이트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보이지 않지만,

실제 웹컴파일러에서는 표현방식 2번에 "this"가 선언한 class명과 색상이 동일한 것을 알수 있다.

이는 this가 현재 class를 가리키는 것을 의미하며, 현재 class안에 name이라는 변수를 지칭하는것을 뜻한다.


※ Dart 웹컴파일러는 아래 포스팅에 있으니 참고

 

Dart언어공부-01.Hello World

Flutter가 요즘 핫하게 올라오면서, Flutter의 주력 언어(다른언어도 가능함)인 Dart를 공부해보려 한다. 간단하게 Flutter란? Google에서 개발하고 Mobile World Congress 2018에서 최초 베타..

masswhale.tistory.com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그럼 이렇게 선언한 class는 어디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

먼저 Map이나 List를 선언하여 사용하는것과 같이 마찬가지로 변수형태로 선언해야 한다.

//선언된 클래스를 변수처럼 사용하기 위해, 변수선언하듯이 선언한다.
Color color = new Color();

위 class를 선언한것을 보면 아래 Map과 List선언방식과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ap map = new Map();  
List list = new List();

이유는 Dart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class형이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class를 인스턴스로 변환하는 것을 Instantiation이라 한다.

한글로는 인스턴스화.

위와 같이 선언된 (좌측영역) class의 변수는 하나의 인스턴스라고 부른다.

 

그럼 color라는 인스턴스에서 하나를 꺼내 실행해보자.

color.sayName();  
print(color.name);
이 색은 red입니다.
red

위와같은 결과가 문제없이 나오고 지금까지 무리없이 따라왔다면,

기본적인 class를 선언하고, 사용하는 방법까지 익힌것이라 할수 있겠다.

또한, Map과 List도 그러하듯이, class도 여러 인스턴스를 만들수 있다.

Color color2 = new Color();
color2.sayName();
이 색은 red입니다.
red

만약, 같은방식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였지만 위 구문 기준으로 

color2.sayName();을 했을때 다른 색상을 호출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때 바로 Constructor라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Constructor는 또 무엇인가?

처음 class가 선언이 될때, 원하는 변수들을 이 class안에 집어넣을 수 있는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될거같다.

그럼 Constructor는 어떻게 사용할까? 바로 소스 예제로 확인해 보자.

class Color{  
  String name ;
  //1. 새로 추가 선언
  String group ;
  
  //Constructor - 2. 동일한 이름을 작성하여 소괄호를 열고 닫아준다.
  Color(
    //3. class가 인스턴스로 선언될때, 외부에서 직접 입력을 받아서 변수에 할당하고자 한다.
    //4. 아래와 같이 선언하게 되면, 외부에서 값을 새로 받겠다라는 의미가 된다.
    //5. 그리고 외부에서 받아온 이 name과 group는 현재class의 name과 group이라는 것을
    //   가장 하단 콜론(:)뒤에 반드시 지정해준다.
    String name,
    String group
  ):this.name = name,
    this.group = group
    ;

  void sayName(){
      
    print('이 색은 ${this.name}입니다.');
    
  }
  
}

위와같이 class 생성자(Constructor) 정의가 완료된 후, 호출해보면

void main(){
  Color listUp = new Color(
  'blue',
  'B' );
  
  listUp.sayName();
  print(listUp.name);
  print(listUp.group);
}
이 색은 blue입니다.
blue
B

인자(파라미터)를 넣어 정의한 listUp이라는 인스턴스를 생성할때,  class의 생성자(constructor)에서 name과 group값을

셋팅했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생성자(constructor)의 파라미터는 함수의 파라미터와 같은 역할을 한다.

직접 class를 생성해보고, 여러번 돌려보면서 체화하는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생성자(constructor)에 네임드 파라미터를 넣을 수 있을까?

class Color{

  String name ;
  String group ;
  
  //소괄호 안에 중괄호를 열어서 선언.
  Color({
    String name,
    String group
  }    
  ):this.name = name,
    this.group = group;

  void sayName(){

    print('이 색은 ${this.name}입니다.');

  }
  
}

생성자(constructor)의 소괄호 안에 중괄호를 열어서 선언한다.

다음 main 함수에서 호출시가 달라지는데, 네임드 파라미터의 특징답게 변수명을 지정하여 할당한다.

물론, 네임드 파라미터의 특성답게 순서가 달라져도 상관없다.

void main(){
  Color listUp = new Color(
    group : 'B',
    name : 'blue'
   );
  
  listUp.sayName();
  print(listUp.name);
  print(listUp.group);

}

 

이 색은 blue입니다.
blue
B

이와 같이 같은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생성자(constructor)에 대해 한가지를 더 다뤄보자면,

일반적으로 JAVA처럼 OOP를 자주 쓰는 언어에서는 constructor 오버로딩이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

Dart에서는 다른 이름이 존재한다. 바로, 네임드 컨스트럭터(=생성자)라 한다. 

 

다시 class로 돌아와서 추가로 생성자를 추가해보자.

class Color{

  String name ;
  String group ;
  
  //소괄호 안에 중괄호를 열어서 선언.
  Color({
    String name,
    String group
  }    
  ):this.name = name,
    this.group = group;
  
  //1. Map값을 받아서 이 class를 생성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생성자를 만들어보자
  //2. '클래스명.적당한이름' 의 형태로 짓는다.
  //3. Map값을 받아서 Key값이 name인것은 이 클래스의 name으로,
  //4. Key값이 group인것은 이 클래스의 group으로 넣어줄 수 있도록 지정해준다.
  Color.fromMap(
    Map input
  ) : this.name = input['name'],
      this.group = input['group']
  ;

  void sayName(){

    print('이 색은 ${this.name}입니다.');

  }
  
}

위 코멘트 1~4번에서도 작성했듯이, class가 인스턴스화 될때, 방식에 따라 다르게 선언하여 생성할 수 있다.

(※ fromMap은 Map값을 받아서 인스턴스화 시키기 위해 지은 적당한 이름이지 함수명 같은것이 아님)

위와같이 정의하면 Map형태로 넘어온 값은 인스턴스화 될때, Key값이 name인 것의 value를 class의 name으로

Key값이 group인 것의 value를 class의 group으로 지정할 수 있다.


void main(){
  Color listUp = new Color(
    group : 'B',
    name : 'blue'
   );
  
  listUp.sayName();
  print(listUp.name);
  print(listUp.group);
  
  Color frMap = new Color.fromMap({
    'name' : 'pink',
    'group' : 'P'
  });
  
  frMap.sayName();
  print(frMap.name);
  print(frMap.group);
}
이 색은 blue입니다.
blue
B
이 색은 pink입니다.
pink
P

이렇듯 위 2개의 예제를 통해, 한 class안에서 여러개의 다양한 방식의 생성자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class를 인스턴스화 할수 있는 방법이 여러가지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class를 인스턴스화 할때 생성자의 값을 초기화(기본값)후, 변경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할까?

void main(){
	Color frMap = new Color.fromMap({
	    'name' : 'pink',
	    'group' : 'P'
	});
    frMap.name = 'purple';
    print(frMap.name);
}

위와같이 name의 값을 분명히 pink로 초기화 했는데, 인스턴스화 후 purple로 변경 후에 값을 출력하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name은 purple로 변경되어 뜬다.

물론 값을 변경할 일이 있을수 있지만, 그렇지 않고 변경을 원치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럴땐, final을 이용한다.


class Color{

  final String name ;
  final String group ;
  
  
  Color({
    String name,
    String group
  }    
  ):this.name = name,
    this.group = group;

  Color.fromMap(
    Map input
  ) : this.name = input['name'],
      this.group = input['group']
  ;

  void sayName(){

    print('이 색은 ${this.name}입니다.');

  }
  
}

위와 같이 class에 선언된 name과 group변수에 final을 붙여서 반드시 변하지 않는 값임을 명시해준다.

final로 선언되면 인스턴스화 당시 값 초기화 후, 이후엔 절대 변경할 수 없다.

하나 주의할 점은 final로 지정된 이상 생성자에서는 반드시 값을 바인딩해주어야 한다.

(:this.name = name )  <- final로 선언된 변수가 생성자로 부터 연결되는 값이 없다면 오류가 발생한다.

초기화 후, 절대 변경이 되서는 안되는 값이므로 연결이 안될 수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굉장히 유용하므로 final도 잘 기억해 두자.


앞 부분 스터디들은 크게 지루하고 재미없었지만, class로 진입하고 나서부터는 다시 들어도 재밌다.

코드팩토리님의 Dart 기초강의를 듣고싶다면 아래 포스팅 참고!

 

Flutter개발을 위한 Dart언어 왕초보 강의

Flutter를 이용한 앱개발을 위해 Dart강의를 찾던 중 유튜브에서 기가막힌 강의를 찾아냈다. (혹시 Dart언어에 대해 빠르고 간략하게 기초를 쌓고 싶으신 분에게 추천드림..) 정말 마음에 드는점은

masswhale.tistory.com

오늘 class 스터디 완료!!

반응형
반응형

해당 이미지가 저작권에 위배될시 죄송합니다

이번 스터디는 Dart의 typedef다.

Typedef는 Function과 굉장히 밀접하게 연결이 되어있다.

이 Typedef를 사용하면 함수를 미리 시그니처와 해서 여러가지 함수를 유용하게 다룰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준다.

바로 소스로 알아보자.

먼저 간단하게 덧셈과 뺄셈을 하는 함수를 정의한다.

void main() { 
	//잘 나오는지 확인
  add(1,2);
  subtract(3,2);
    
}

void add(int x, int y){
  print('x더하기 y는 ${x+y}입니다.');
}

void subtract(int x, int y){
  print('x빼기 y는 ${x-y}입니다.');
}
x더하기 y는 3입니다.
x빼기 y는 1입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typedef를 하나 선언해보자.

void main() { 
  add(1,2);
  subtract(3,2);
    
}

void add(int x, int y){
  print('x더하기 y는 ${x+y}입니다.');
}

void subtract(int x, int y){
  print('x빼기 y는 ${x-y}입니다.');
}

typedef Operation(int x, int y);

여기까지만 보면,

함수는 반환타입 또는 void를 지정한 후, 함수명과 파라미터의 구조다.

typedef의 경우도 정의한 형태는 함수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유일한 차이로는, 함수의 경우 중괄호 영역을 펼쳐서 수행할 내용을 작성하지만, typedef의 경우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사용하는 것일까?

직접 예제로 한번에 활용하자.

(주석의 넘버링된 순서대로 읽어나가면 되겠다.)

void main() { 
  add(1,2);
  subtract(3,2);
    
  print('-----구분선-----');
  
  //1. 변수선언 하듯이, type은 typedef에 선언한 Operation으로 하고,
  //2. 변수명 짓듯이 알아서 짓는다.
  //3. 여기에 할당하는것은 미리 정의해둔 함수를 할당한다.
  Operation oper = add;
  
  //4. 위와 같이 지정한 후, oper을 실행하게 되면?  
  oper(1,2);
  //5. add함수를 호출했던것과 같은 결과를 나타낸다.
  //6. 즉, oper를 호출한다는 것은 -> add를 호출하는것과 같은 것이다.
  
  //7. 반대로 oper에 뺌셈기능을 하는 함수를 정의해주면
  oper = subtract;
  
  oper(3,2);
  //8. subtract함수의 기능을 수행하여, 결과를 표시한다.
  //9. 여기서 주의할 점은, typedef에 정의해둔 것과 사용하려는 함수의 파라미터가 같아야 한다.
  
  
}

void add(int x, int y){
  print('x더하기 y는 ${x+y}입니다.');
}

void subtract(int x, int y){
  print('x빼기 y는 ${x-y}입니다.');
}

typedef Operation(int x, int y);

※즉, typedef를 이용하면 함수들을 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여기서 드는 의문...그냥 함수를 호출하면 되는것이 아닌가? 굳이 typedef를 사용해야 할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예제로 만들어보자.

이번에도 임의 함수를 하나 선언하자.

void calculate(int x, int y, Operation oper){
  oper(x,y);
}

위 calculate라는 함수는 int형의 x,y를 받고 typedef 하나를 받도록 되어있다.

실제 main함수에서 호출해보면,

void main() { 
  calculate(1,2,add);
  calculate(3,2,subtract);    
}

void add(int x, int y){
  print('x더하기 y는 ${x+y}입니다.');
}

void subtract(int x, int y){
  print('x빼기 y는 ${x-y}입니다.');
}

typedef Operation(int x, int y);

void calculate(int x, int y, Operation oper){
  oper(x,y);
}
x더하기 y는 3입니다.
x빼기 y는 1입니다.

함수에 인자로 함수를 넣고, 그 값을 받은 calculate는 첫번째, 인자와 두번째인자를 가지고 세번째 typedef를 실행한다.

여기까지만 봐도 아직 크게 와닿지 않을 수는 있다..나도 그렇지만...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은 쓰일때가 있다고 한다. 일단 알아두도록 하자

나중에 인자로 함수 막 박혀있고 그러면 헷갈리니깐~~

오늘 스터디 typedef끝.

반응형
반응형

구글 검색해서 주워왔는데 문제될꺼 없겠지?

자바, C, 스크립트 모든 언어에 반드시 있는 조건문.

Dart에도 조건문이 존재한다. 이번에는 조건문 If와 Switch에 대해 다뤄보려 한다.

주어진 조건에 대해 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하며, 결정된 내용(정의된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소스로 알아보도록 하고, 준비물인 웹컴파일러는 아래 포스팅에 포함되어 있다.

 

Dart언어공부-01.Hello World

Flutter가 요즘 핫하게 올라오면서, Flutter의 주력 언어(다른언어도 가능함)인 Dart를 공부해보려 한다. 간단하게 Flutter란? Google에서 개발하고 Mobile World Congress 2018에서 최초 베타..

masswhale.tistory.com


1. if(조건){수행할 내용}

void main() {
  int number=20;
  
  //number라는 변수를 4로 나누었을때, 나머지가 0인지를 if괄호안에 조건을 
  //작성한다. true가 반환되면서 중괄호 안의 기능이 수행된다.
  if(number % 4 == 0){
    print('4의배수 맞음');
  }  
}

실행결과

4의배수 맞음

2. if(조건){수행할 내용}else if(다른 조건){수행할 내용}

void main() {
  int number=20;
  
  //number라는 변수를 4로 나누었을때, 나머지가 0인지를 if괄호안에 조건을 
  //작성한다. true가 반환되면서 중괄호 안의 기능이 수행된다.
  if(number % 4 == 0){
    print('4의배수 맞음');
  }  
  
  //첫번째 조건이 맞지 않을 수도 있을때, 추가적인 조건을 질의할 수 있다.
  //말로 풀자면, 2곱하기2는 5야? 아니야? 그럼 2곱하기2는 4야?? 이런식으로 되묻는다고 생각하자.
  //위의 예제를 이어서 작성.
  if(number % 4 == 1){
    print('나머지는 1');
  }else if(number % 4 == 0){
    print('4의배수 맞음');
  }
}

실행결과

4의배수 맞음
4의배수 맞음

3. if(조건){수행할 내용}else if(다른 조건){수행할 내용}else{위 조건들에 해당안될때 수행할 내용}

void main() {
  int numbers=21;
  int _number=21;
  
  //아래 소스로 얘기하고 싶은건, 첫번째 조건이 아닌 경우 다음조건으로 이동한다는 점과
  //만족하는 조건이 찾아졌을땐, 그 다음 로직(if나 else)을 수행하지않는다.
  //또한 else에서는 if, else if의 조건들이 하나도 만족하지 않을때만 수행한다.
  if(numbers % 4 == 0){
    print('4의배수 맞음');
  }else if(numbers % 4 == 1){
    print('나머지는 1');
  }else if(_number % 4 == 2){
    print('나머지는2');    
  }else{
    print('어떠한 조건에도 해당안됨.');
  }
  
  //조건을 단순하게 예를들어 도출될 결과값이 두개밖에 없다면, 
  //if, else if가 아닌
  //if else로 사용해도 된다.
}

 

실행결과

나머지는 1

4. Switch

기본적으로 if문과 성격은 같다. 하지만 주어진 조건이 성립할때, 기능이 수행되지만

if else if...처럼 다중 조건에서는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대신 속도는 if보다 빠르다.

void main() {
  int sNumber=20;
  switch(sNumber % 4){
    case 0 : 
      print('4의 배수입니다.');
      break;
    case 1:
      print('나머지가 1입니다');
      break;
    case 2 : 
      print('나머지가 2');
      break;
    default : 
      print('해당되는 값 없음');
      break;
  }
  
  //설명에도 써놓았지만, 위에서의 조건은 4로 나눈 나머지의 값만 가지고
  //찾아가지만, 3으로,2로 등 여러값으로 나누었을때의 대한 다중 조건은 사용할 수가 없다. 
  if(sNumber % 4 == 0){
    print('4의배수입니다.');
  }else if(sNumber % 3 ==0){
    print('3의배수입니다.');
  }else if(sNumber % 2 ==0){
    print('2의배수입니다.');
   }
  
  
}

실행결과

4의 배수입니다.
4의배수입니다.

 

Dart의 조건문 if, Switch 스터디 끝.

(다시 기초부터 훑으려니깐 지루하네....그냥 건너뛸까...)

 

반응형
반응형

이번 스터디에서는 연산자를 알아보려고 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사칙연산(+,-,*,/)와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대소(크기)비교,

논리연산 등을 다뤄보려 한다.

자세한건 소스를 실행하면서 알아보고, 준비물인 웹컴파일러는 아래 포스팅에 포함되어 있다.

 

Dart언어공부-01.Hello World

Flutter가 요즘 핫하게 올라오면서, Flutter의 주력 언어(다른언어도 가능함)인 Dart를 공부해보려 한다. 간단하게 Flutter란? Google에서 개발하고 Mobile World Congress 2018에서 최초 베타..

masswhale.tistory.com


1. 기본 사칙연산

void main() {
	//기본 사칙연산
    //int(정수형)타입의 number라는 이름의 변수 선언 및 2라는 값으로 초기화
    int number = 2;
    
    //사칙연산을 실행하여 결과를 알아보자
    print(number + 2);
    print(number - 2);
    print(number * 2);
    print(number / 2);

}

실행결과

4
0
4
1

2. 사칙연산 중 나누기에서는 몫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나머지도 존재한다. 

void main() {
	int number = 2;
    //해당 변수를 특정값으로 나누었을때, 나머지를 알고싶다면 % 연산자(기호)를 사용한다.
    //결과값이 0이라면 나눈값의 배수인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int(number % 2);
    print(number % 3);
}

실행결과

0
2

3. 증가/감소 연산

void main() {
	int number = 2;
    
    //선언된 변수 뒤에 ++연산을 사용하여 값을 증가시킨다.
    //1씩증가 및 감소하며, String 타입의 변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증가시키려 할때.
    number++;
    print(number);

	//감소시키려 할때.
    number--;
    print(number);

}

실행결과

3
2

4. null값인 경우 처리(표현)방법

void main(){
	int number2;
    
    //number2 라는 int타입의 변수 선언 후, 출력하면 숫자값의 선언(초기화)이 되지 않았기때문에
    //null이라는 값이 출력된다.    
    print(number2);
    
    //하지만 아래와 같은 표현방법으로 null인경우 4로 할당하도록 하면
    number2 ??= 4;
    
    //지정한 4가 추출된다.
    print(number2);
    
}

실행결과

null
4

5. 이미 할당(초기화)된 값에 추가로 사칙연산하는 방법들

void main(){
	int number4 = 2;
    //number4라는 변수에 2라는 값을 할당 후,
    //1을 더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다.    
    number4 = 2+1;
    
    //하지만 아래 연산기호를 이용하여 표현할수도 있다.
    //기존 변수에 1을 더하여 할당한다는 의미이다.
    number4 += 1;
    
    print(number4);
    
    //뺄셈을 할땐, 더하기기호와 반대로 사용하면 된다.
    
    number4 -= 1;
    print(number4);
    
    //알아본 김에 곱셈, 나눗셈도 알아보자.
    //같은 방식으로 연산자(기호)만 변경하여, 작성한다.
    number4 *= 2;
    print(number4);
    
    //아래는 나눗셈을 할때인데, 위와같이 단순하게 number4 /=2; 라 할경우엔 오류가 발생한다.
    //나눗셈은 몫과 나머지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정수형인 int로 처리할수 없도록
    //Dart에서 정해져있다. 따라서 나눗셈 연산을 시도할땐, int가 아닌 범위가 더 큰double로
    //선언하여 처리해야 한다.
    //편의상 number44라는 변수를 사용하여 예제를 보자
    
    double number44 = 2;
    number44 /= 2;
    print(number44);
}

실행결과

4
3
6
1

6. 주어진 값을 비교하는 연산자

주어진 1개 이상의 값을 연산하여 true인지 false인지 boolean형 값을 구해보자

void main(){
	int _number1 = 1;
    int _number2 = 2;
    
    //ture false검증
    //대,소 비교 연산을 통해 두개의 값이 맞는지 틀린지 값을 구해낸다.  > , <
    //true or false로 표현된다.
    print(_number1 < _number2);
    print(_number1 > _number2);
    
    //또한 초과,미만 표현이 아닌 이상,이하 표현도 가능하다.   >= ,  <= 
    //이퀄스 기호를 추가하여 작성한다.
    print(_number1 <= _number2);
    print(_number1 >= _number2);
    
    
    //대,소만 있는것이 아닌 '같다'와 '같지 않다'도 확인할 수 있다.  ==,  !=
    print(_number1 == _number2);
    print(_number1 != _number2);
    
}

실행결과

true
false
true
false
false
true

7. 타입비교

이번에는 선언된 변수가 특정타입이 맞는지 검증하는 연산자를 사용해보자

void main(){
  int _numbers1 = 1;
  //int형으로 선언된 _numbers1의 타입을 확인하는 연산자를 사용해보자.
  //맞는지, 아닌지를 묻는 연산이기 때문에 true or false값을 반환하며
  //자료형 별로 질의를 할수 있다. 
  //변수 is 타입질의 형태로 사용한다.
  
  print(_numbers1 is int);
  print(_numbers1 is String);
  print(_numbers1 is bool);
  //맞는지만 물어볼수 있는것이 아니라, 맞지않은지도 느낌표(!)를 사용하여 질의할수 있다.
  print(_numbers1 is! String);
}

실행결과

true
false
false
true

8. 논리비교

약간 헷갈릴 수 있는데, 6번에서 사용한 대소비교 등이 두개이상이 합쳐졌다고 할수있다.

void main() {
  
  //&&연산자를 기준으로 좌우측의 두 조건이 만족할때 true가 표현된다.
  result = 12 > 10 && 1 < 0;
  print(result);  
  
  //위 &&연산자와는 반대로 || 연산자는 좌우 둘중하나의 조건만 맞으면 true가 표현된다.
  result = 12 > 10 || 1 < 0;
  print(result);  
  
}

실행결과

false
true

총 8개의 연산자를 스터디해보았다.

다른 언어들과 다를것이 없어서, 이미 다른언어를 사용중이거나 배워본 사람은 한번 훑허보면 될듯싶다. 

Dart 연산자 스터디 끝.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