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공부 "Dart언어공부-03.자료형(숫자)"

이어서 이번에는 문자열 자료형을 사용하는 변수 공부.

스타트.

 

문자열을 의미하는 String 은 다른 선언과 다르게 대문자로 시작해야한다. (int, double ..e.g)

문자열 변수이기 때문에 무조건 따옴표에 넣어서 하며, 따옴표 종류는 혿따옴표나 쌍따옴표 상관없고, 

대신 같은걸로 써야한다.

 

바로 아래 코드를 작성해서 확인해보자.

※준비물(웹컴파일러)은 Dart언어공부- 01.HelloWorld 포스팅에 가보면 써있음.

//04.String 문자열.
void main(){
  String name = '문자열값';
  
  print(name);
  
  String name2 = '철수';
  String sentence = '는 학교갑니다.';
  
  //아래의 결과값으로 보면 알겠지만, 숫자형(int, double)과는 다르게 문자열은 이어지는 것을 볼수있다.
  print(name2 + sentence);
  
  //$를 붙이면 따옴표 안에서도 변수명으로 인식되어 처리된다. => 아래와 같이 처리할수도 있다.
  //String 만 되는것은 아니다.
  print('$name2$sentence');
  
  //기본적으로 숫자형과 문자형은 합쳐질 수 없지만, 아래와 같이 '$변수' 형식을 사용하면 붙여서 가능하다.
  //여태 경험상 어디에 필요할지는 잘 모르겠다... 그냥 이렇게 붙어버리면, 나중에 잘못사용해도 넘어갈거같긴하다.
  int count = 5;
  String sentence2 = '친구들은 총 $count명 입니다.';
  
  
  print(sentence2);
    
}

 

결과물은?

문자열값
철수는 학교갑니다.
철수는 학교갑니다.
친구들은 총 5명 입니다.

 

문자열 변수 공부 끝.

※$를 사용해서 나중에 클래스 명에 붙이는것을 봤는데, $에 담아둔값을 class $commonClassName01 뭐 이런식으로 

쓰게된다면 이름 충돌은 피할수 있다는 글들을 봤는데, 아직까지는 감이 안온다.

조금 더 공부하면서 익혀야 할듯.

반응형
반응형

모든 언어에는 변수라는 것이 존재한다. 이전 포스팅에도 설명했지만

일종의 그릇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 좋겠다. 아니면 보관함정도.

 

하지만 그 그릇도 용도가 명확하지 않으면 구분없이 막 담게 되므로 문제가 생길수 있다.

예를들어 음식을 담기위한 용도의 그릇인데 거기에 고철이나 오물, 화학용액 등 아무거나 담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이 그릇은 국을 담기위한 음식 그릇이야"라고 알려주듯이 컴퓨터에게도 비슷한 맥락으로 알려줘야 한다.

이 변수는 숫자형이야, 문자형이야~ 이렇게

 

이번에는 숫자형변수 연습이다.

기타 설명은 아래 소스코드의 주석을 참조.

아래 코드 입력 후, 결과를 실행해보자.

※준비물은 Dart언어공부- 01.HelloWorld 포스팅에 가보면 써있음.

//정수-int,실수double
void main(){
  //어떤 변수를 쓸지 정확하지 않을때 쓰는 var
  //정확하게 지정하려면? 숫자인지 문자인지 범위를 고려하여 선언한다.
  int number1 = 12;
  print(number1);
  
  int number2 = 38;
  print(number2);
  
  print(number1 + number2);
  print(number1 - number2);
  print(number1 * number2);
  print(number1 / number2);
  
  print('--------------------');
  
  //이번에는 실수.  소숫점을 표현해보자.
  
  double number3 = 2.5;
  double number4 = 0.5;
  
  print(number3);
  print(number4);
  
  //정수는 실수에 포함되기 때문에 정수를 double에 넣어도 괜찮다.
  double number5 = 12;
  
  //하지만? - 정수에는 실수보다 아래이며, 포함되지 않기때문에 넣으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int number6 = 2.5;
  
  print('--------------------');
  
  print(number3 + number4);
  print(number3 - number4);
  print(number3 * number4);
  print(number3 / number4);
  
  
}

 

결과는?

12
38
50
-26
456
0.3157894736842105
--------------------
2.5
0.5
--------------------
3
2
1.25
5

 

3강 숫자형 변수 공부 끝

반응형
반응형

지난번에는 print라는 함수로 내가 원하는 문자열을 출력해보았다면

이번에는 변수에 담은다음에 출력해보자.

변수는 일종의 그릇정도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보통 사용할 땐, var name = "임의값"; 형태로 쓴다.

여기서 name은 그릇정도라고 생각하면 되고, "임의값"은 그릇안에 들어갈 내용물(음식같은..)정도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그리고 그 앞에 var라고 쓰여진 자리에는, 이것이 변수라는 것을 가르쳐주는 부분인데

var라고 사용한 이유는 어떤자료형의 변수를 쓸지 미정일때 주로 var로 선언해둔다.

 

JAVA같은 경우 변수명 앞에 int, boolean, string, double 등 다양한 선언이 있으며 

이는 변수가 어떤 종류인지 컴퓨터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쉽게 예를들면, String name = "임의값";  이라고 하면, 

문자열인 "name"이라는 변수에 "임의값"이라는 글자를 담아놔~ 라는 뜻이다.

2번째, 변수선언해서 원하는 값을 담고, 출력해보기!

//02.변수선언해서 원하는 값을 담아 출력해보기
void main(){
  //변수는 영어로 variable, 줄여서 var
  var name = '테스트변수';
  print(name);
}

 

※준비물은 Dart언어공부- 01.HelloWorld 포스팅에 가보면 써있음.

입력하고 나서 CTRL+ENTER또는 RUN 버튼 클릭!

테스트변수

 

2번째, 변수선언 공부 끝

반응형
반응형

Flutter가 요즘 핫하게 올라오면서, Flutter의 주력 언어(다른언어도 가능함)인 Dart를 공부해보려 한다.

간단하게 Flutter란?
Google에서 개발하고 Mobile World Congress 2018에서 최초 베타 릴리스를 발표하면서 새롭게 소개된 크로스 플랫폼 모바일 앱 개발 프레임워크다.
모든 사람이 아름다운 모바일 앱을 개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SDK라 할수있다.

또한 개발자가 iOS와 Android 두 OS에 대해 고품질 기본 인터페이스를 제작하는 데 도움을 주는 크로스 플랫폼 프레임워크라고 할 수 있다.

이하 Dart와 Flutter의 기원, 어마어마한 장점등은 아래 사이트로 대체함.

 

#설명사이트1

#설명사이트2

 

 

●준비물 : 다트언어를 작성 후 실행시킬 웹 컴파일러 

URL : dartpad.dartlang.org/

 

 

1. 접속하면 좌측은 코드영역, 우측 상단은 결과물이나 에러를 도출하는 콘솔, 우측 아래는 관련 안내가 표시된다.

 

2. 좌측영역에 코드들이 작성되어 있다면 싹다 지워버리고 준비.

 

3. 아래 코드를 입력 후 실행해본다. (우측 중앙에 파란색 RUN버튼 or CTRL+ENTER)

//main 함수라 한다. 
//Dart를 실행했을때, 가장먼저 호출(시작)되는 부분이라고 할수있다.
void main(){
//샘플로 print함수 호출.
  print('Hello World');
  
}

 

4. 결과는 간단함.

 

Hello World

 

1강.

Hello World 출력해보기 끝.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