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대 러시아의 시초가 된 국가는 9~12세기 무렵에 존재하였던 키예프대공국이다.

이 나라의 블라디미르 대공은 어느 종교를 국교로 삼아야 좋을지를 각종자료를 모으며 고민을 했다.

당시엔 하나의 국가라면 반드시 종교를 가지고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대공은 고민 끝에 최종 후보로 이슬람교와 그리스정교를 올려 고민하기 시작하였는데,

그래도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슬람교로 마음이 많이 기울어져 있었다.

 

지정에 앞서 이슬람 경전을 살펴보기 시작하였는데, 이슬람교의 율법이 매우 까다롭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중 일부는 돼지고기를 먹어도 안 되고 매일 메카를 향해 예배도 드려야 했다.

이만해도 생각보다 불편한 부분이 많다고 생각되었지만, 그중 대공을 가장 곤란하게 했던 것은 바로

술에 대한 금지 조항이었다.

 

러시아 추위수준

그러나 러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추운 나라 중 하나다.

혹독하기 그지없는 겨울을 무사히 버텨내기 위한 필수품 중 하나인 술을 금지하게 된다면 탄생한

자신의 국가가 반란으로 무너질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대공은 금주 조항에 대해 빼줄 수 없겠냐며 이슬람 종교 지도자와 교섭을 했지만,

대답은 “안 된다”였다. 한 치 앞도 양보 없는 이슬람의 거부를 듣고, 대공은 그나마 술에 대해 관대하였던 3

기독교를 선택하기로 결심한다. 그리하여 러시아의 국교가 기독교가 되었다고 한다.

 

만약 당시의 대공이 이슬람교로의 선택을 밀고 갔다면 지금쯤 러시아의 국교는 이슬람이었을 거이며,

그에 따라 세계정세도 달라졌을 것이다.

 


후후

반응형
반응형

 

보드카 하면 떠오르는 나라가 어디냐고 묻는다면 당연히 러시아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 보드카의 소비가 가장 많은 나라는 본고장 러시아가 아닌 미국이다. 

그만큼 보드카는 이제 러시아만의 국민주가 아닌, 전 세계인이 즐기는 술이라고 할 수 있다.

 

양꼬치엔 칭따오가 생각나는 짤

그런데 본고장인 러시아에서 태어난 이 보드카가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로 퍼지기 시작한 이유는

과거 러시아에서 이 보드카에 대한 탄압을 했기 때문이다.

과거 러시아 제국의 황제였던 니콜라이 2세는 보드카의 알코올 도수가 지나치게 높다며 도수를 조절

또는 제한하라고 명령하였고 심지어 러시아 혁명 후 볼셰비키 정권은 보드카의 제조와 판매를 일절 금지하기도 하였다.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

이렇게 각종 규제와 탄압이 이루어지고 전란이 일어나자 버티기 힘들었던 러시아인들은

전 세계 각지로 망명을 하기 시작했다.

망명자 중 평범한 일반인부터 전문가 등이 당연히 섞여있었으며, 그중에는 주조 기술자들도 무수히 섞여있었다.

이 주조기술자들이 본국을 떠난 나라 밖에서 보드카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었다.

그리고 점차 그 맛과 향이 타국을 넘어 전 세계 사람들에게도 퍼지기 시작하였고, 이제는 세계적인 술이 된 것이다.

러시아의 국민 주인 보드카가 탄압을 계기로, 전 세계에 퍼져 이제는 모든 이들의 사랑을 받는 술이 될지 

아무도 몰랐을 것이다.


강한 나라 러시아. 마당에 들어온 곰 쫒는 아저씨

훠이~

반응형
반응형

에펠탑

프랑스 파리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건축물이자 상징인 에펠탑. 

그런데 이 에펠탑이 1889년 파리 만국박람회를 위해 세워질 당시만 해도 

철근 구조물을 그대로 드러낸 모습이 파리의 풍경과 어울리지 않는다며 여론이 시끄러웠다.

에펠탑에서 바라본 풍경

오죽하면 "파리의 아름다운 풍경을 보려면 에펠탑에 오르는 게 최고다"라는 말이 유행했을까.

다시 말하자면 사실 에펠탑은 보지 않아도 되는 장소라는 비웃음의 뜻이 담겨 있다.

게다가 에펠탑은 만국박람회가 끝나면 바로 철거될 예정이었다. 그런데 철거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바로 군대 때문이다.

프랑스 군에서는 이 에펠탑을 군사 통신용으로 사용하겠다고 나섰고, 그로 인해 철거되지 않고 겨우 살아남은 것이었다.

지금은 프랑스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건축물이자 관광 상품인 에펠탑이지만 

당시 험담과 비방에 시달려야 했던 고난과 역경의 시절이 있었다.


그래서 프랑스 파리하면 뭐다? 모다? 모다~!!?

모다시경

헿 에펠탑

반응형
반응형


영국이 나은 세계 최고의 극작가 셰익스피어.

이 작가의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베니스의 상인"에는 샤일록이라는 인물이 나온다.

그는 악덕한 고리대금업자의 대명사인 동시에 "유대인=고리대금업자" 이미지를 확고하게 각인시킨 인물이다.

현대가 되어서도 국제 금융업계를 좌지우지하는 큰손, 세력이라고 불리는 자들 중에는 유독 유대인이 많다.

본래 기독교의 교리에서는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주는 일을 죄로 여겼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유대교를 믿는 유대인들 역시 오래전에는 이 가르침을 따랐지만 점차

"유대인끼리의 거래에서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주는 것은 죄악이나 우리와 다른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괜찮다.  죄악이 아니다." 라는 인식이 생겨났다.

그로 인하여, 종교 때문에 유럽에서 온갖 차별에 시달렸던 유대인은 고리대금업을 실제로 시작하였고,

때마침, 십자군 원정 시기와 맞물려서 유럽의 금융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기 시작하자 그 흐름을 이용하여 단숨에 

금융계를 휘어잡았다.

이러한 사건, 이야기들로 인하여, 유대인이 고리대금업자의 대명사로 불리게 된 것이다. 

 

물론, 그렇다는 이야기들이 있다는 것이지 역사적으로 증명이 되었다거나 한건 없다. 

그냥 재미로 믿거나 말거나의 이야기.


※사채업자는 무섭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