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흔희들 간호사를 '백의의 천사'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간호사가 수술실에 들어갈 땐 흰색옷이 아닌, 짙은 녹색(또는 푸른색)의 거칠어 보이는 옷으로 갈아입는걸 보셨을텐데요.

이는 간호사 뿐만 아니라 의사도 마찬가지인데, 여기엔 아주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음성잔상(陰性殘像)에 의한 사고 방지를 위한 것이죠.

 

음성잔상이란?

어떤 빛(색)을 보다가 다른 곳이나 흰 종이로 눈을 돌리게 될 때, 그 보색이 나타나는 현상을 일컷습니다.

 

이게 수술과 무슨 연관이 있느냐?

수술시엔 붉은 장기와 피를 오랜시간 마주하며 진행해야 하는데, 오랫동안 마주하며 수술을 진행하다보면 

그 색의 잔상이 눈에 남게 되고, 이때 흰색 벽이나 수술도구처럼 밝은 사물(물체)을 보게되면 눈의 보색 작용에 의해 

순간 청록색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수술에서의 실수가 없도록 하기 위해, 짙은 녹색 수술복을 입어 눈의 보색작용을 완화시키는 것이죠.

생각조차도 안하고 지나갔을 법 하지만, 이렇게 알고 나니 신기한 과학적인 이유.

 

어찌보면 수술실까지 가는 과정이 무섭고, 수술실은 춥고 약냄새도 심하다보니 생각도 못 했을법하죠?


본 글은 네이버 블로그와 함께 포스팅됩니다.

 

미세상식 : 네이버 블로그

역사, 과학, 일상, 글귀 등에 대한 상식을 공유합니다.

blog.naver.com

 

반응형
반응형

계란을 생각하면, 투명한 액체 속 샛노란 알이 들어있는 형태가 떠오를 것이다. 

하지만 과거에는 계란의 이 샛노란 노른자가 지금만큼 노랗지 않았다.

 

그렇다면 지금 만큼 노른자의 색이 진해진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바로 닭이 먹는 모이에 있다. 닭 모이에는 옥수수 성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 옥수수에는 카로티노이드(carotinoid)라는 성분이 들어있는데, 이 성분은 동식물계에 분포하는 노랑, 주황색을 띄는 색소로써 

옥수수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옥수수가 흉작이면 그 영향으로 닭 모이를 만드는데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되고, 그 영향으로 인해 노른자의 색이 옅어질 수 있어, 

이러한 일을 미리 막기 위해 닭 모이에 색조 강화제를 섞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그럼 대체 왜 그렇게 까지 하는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노른자가 노랗고 선명할수록 영양이 풍부하다’는 소비자들의 고정관념 때문이다. 
그러나 색소 자체에는 영양분이 없으므로, 색이 연하다고 해서 영양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색소강화제를 쓴 모이를 먹고 자란

닭이 낳은 계란의 영양이 더 낮다는 데이터도 있다고 한다. 

 


소비자의 고정관념으로 인해 낮아지는 소비를 걱정하여 선택한 색소혼합. 과연 이렇게 까지 할 필요가 있었을까 싶다. 
근데 사실 샛노랗지 않은 계란 노른자는 맛이 없을꺼 같긴하다.

 

반응형
반응형


어떤 제자가 신성한 것에 관해 랍비에게 질문했다.

"신성하다는 것이 무엇인가요?"

"그것은 무엇을 먹느냐 하는 것과 성관계를 어떻게 하느냐는 것이지"

"그러면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든가, 어느 때에는 성관계를 하지 않는다든가 하는 그런 것을 뜻하는 것인가요?"

랍비가 설명했다.

"집에서 혼자 식사할 때는 그가 무엇을 어떻게 먹는지 다른 사람들로서는 알 수가 없다네, 
하지만 다른 사람과 식사할 때는 모든 것을 알 수 있지.
집에서 식사할 때나 성관계를 할때, 인간은 동물이 될 수도 천사가 될 수도 있는 것일세. 
바로 이럴 때 자기 자신을 높일 수 있는 사람이 진정 신성한 사람인 것이지."



남은 될 수 있는 대로 용서하고 자기 자신은 결코 용서하지 말라
-푸블릴리우스 시루스-


[본 글은 네이버블로그와 함께 포스팅 됩니다]

 

미세상식 : 네이버 블로그

역사, 과학, 일상, 글귀 등에 대한 상식을 공유합니다.

blog.naver.com

 

반응형
반응형

[본 글은 네이버 블로그와 함께 포스팅 됩니다. ▶네이버블로그 바로가기]


한 교수가 '민족'에 대한 강의를 하던 중,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다.

"만일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아기가 태어났다면, 이 아기를 한 사람으로 세어야 하는가, 아니면 두 사람으로 세어야 하겠는가?"

그러자 한 학생이 손을 들어 말했다.

"머리가 둘이라 할지라도 몸이 하나라면 한 사람으로 세어야 합니다."

또 다른 학생이 말했다.

"머리 하나를 한 사람으로 세어야 합니다."

이에 교수는 다음과 같은 답을 내렸다.

"만약 한쪽 머리에 뜨거운 물을 부었을 때, 다른 쪽 머리도 비명을 지른다면 한 사람인 것이고, 다른 쪽 머리가 아무렇지도 않은 표정으로 있다면 이것은 두 사람인 것이다."




-실재의 완전한 본질은 지각의 흐름 속에서 부여된다.
H.제임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