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드카 하면 떠오르는 나라가 어디냐고 묻는다면 당연히 러시아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 보드카의 소비가 가장 많은 나라는 본고장 러시아가 아닌 미국이다. 

그만큼 보드카는 이제 러시아만의 국민주가 아닌, 전 세계인이 즐기는 술이라고 할 수 있다.

 

양꼬치엔 칭따오가 생각나는 짤

그런데 본고장인 러시아에서 태어난 이 보드카가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로 퍼지기 시작한 이유는

과거 러시아에서 이 보드카에 대한 탄압을 했기 때문이다.

과거 러시아 제국의 황제였던 니콜라이 2세는 보드카의 알코올 도수가 지나치게 높다며 도수를 조절

또는 제한하라고 명령하였고 심지어 러시아 혁명 후 볼셰비키 정권은 보드카의 제조와 판매를 일절 금지하기도 하였다.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

이렇게 각종 규제와 탄압이 이루어지고 전란이 일어나자 버티기 힘들었던 러시아인들은

전 세계 각지로 망명을 하기 시작했다.

망명자 중 평범한 일반인부터 전문가 등이 당연히 섞여있었으며, 그중에는 주조 기술자들도 무수히 섞여있었다.

이 주조기술자들이 본국을 떠난 나라 밖에서 보드카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었다.

그리고 점차 그 맛과 향이 타국을 넘어 전 세계 사람들에게도 퍼지기 시작하였고, 이제는 세계적인 술이 된 것이다.

러시아의 국민 주인 보드카가 탄압을 계기로, 전 세계에 퍼져 이제는 모든 이들의 사랑을 받는 술이 될지 

아무도 몰랐을 것이다.


강한 나라 러시아. 마당에 들어온 곰 쫒는 아저씨

훠이~

반응형
반응형

에펠탑

프랑스 파리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건축물이자 상징인 에펠탑. 

그런데 이 에펠탑이 1889년 파리 만국박람회를 위해 세워질 당시만 해도 

철근 구조물을 그대로 드러낸 모습이 파리의 풍경과 어울리지 않는다며 여론이 시끄러웠다.

에펠탑에서 바라본 풍경

오죽하면 "파리의 아름다운 풍경을 보려면 에펠탑에 오르는 게 최고다"라는 말이 유행했을까.

다시 말하자면 사실 에펠탑은 보지 않아도 되는 장소라는 비웃음의 뜻이 담겨 있다.

게다가 에펠탑은 만국박람회가 끝나면 바로 철거될 예정이었다. 그런데 철거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바로 군대 때문이다.

프랑스 군에서는 이 에펠탑을 군사 통신용으로 사용하겠다고 나섰고, 그로 인해 철거되지 않고 겨우 살아남은 것이었다.

지금은 프랑스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건축물이자 관광 상품인 에펠탑이지만 

당시 험담과 비방에 시달려야 했던 고난과 역경의 시절이 있었다.


그래서 프랑스 파리하면 뭐다? 모다? 모다~!!?

모다시경

헿 에펠탑

반응형
반응형


영국이 나은 세계 최고의 극작가 셰익스피어.

이 작가의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베니스의 상인"에는 샤일록이라는 인물이 나온다.

그는 악덕한 고리대금업자의 대명사인 동시에 "유대인=고리대금업자" 이미지를 확고하게 각인시킨 인물이다.

현대가 되어서도 국제 금융업계를 좌지우지하는 큰손, 세력이라고 불리는 자들 중에는 유독 유대인이 많다.

본래 기독교의 교리에서는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주는 일을 죄로 여겼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유대교를 믿는 유대인들 역시 오래전에는 이 가르침을 따랐지만 점차

"유대인끼리의 거래에서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주는 것은 죄악이나 우리와 다른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괜찮다.  죄악이 아니다." 라는 인식이 생겨났다.

그로 인하여, 종교 때문에 유럽에서 온갖 차별에 시달렸던 유대인은 고리대금업을 실제로 시작하였고,

때마침, 십자군 원정 시기와 맞물려서 유럽의 금융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기 시작하자 그 흐름을 이용하여 단숨에 

금융계를 휘어잡았다.

이러한 사건, 이야기들로 인하여, 유대인이 고리대금업자의 대명사로 불리게 된 것이다. 

 

물론, 그렇다는 이야기들이 있다는 것이지 역사적으로 증명이 되었다거나 한건 없다. 

그냥 재미로 믿거나 말거나의 이야기.


※사채업자는 무섭다.

 

반응형
반응형

이슬람교의 일부다처제는 남자들 좋으라고 생긴 제도가 아니다. 

그 시초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오히려 여자를 위해 탄생했다.(고 한다. 뇌피셜 아님)


일부다처제( 一夫多妻制 )

한 남성이 여러 명의 여성을 아내로 두는 결혼 형태.


우리가 당연하게 알고 있는 1부 1처제가 아닌 일부다처제는 한 명의 남자가 여러 명의 부인을 거느리는 제도를 말한다.

이 제도는 과거 우리나라에서도 왕에 한해서 일부다처다첩제라는 형태로 존재했었다.

왕건의 경우 왕자만 25명 공주는 9명이었다고 한다. ㅎㄷㄷ...

현재는 많이 없어지긴 했지만 아직도 이 제도를 인정하는 몇몇의 나라가 남아있다.

그중 이슬람 국가를 대표적으로 뽑을 수 있는데, 이슬람은 율법에 따라 한 명 이상의 부인을 둘 수 있었다.

이 제도가 인터넷에 회자될 때마다 몇몇의 남자들은 부러워하는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데, 이 일부다처제가 알고 보면 여자를 위한 제도였다고 한다.

과거 이슬람을 창시한 마호메트가 이교도와 싸울 때 수많은 아군 병사가 전사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미망인들이 많이 생겨났고, 그런 여자들을 돌보기 위해 마호메트는 

일부 다처제를 인정했다고 한다.

 

즉, 이 제도의 시작은 '부양의 의무'인 것이다. 참고로 마호메트에게는 12명의 아내가 있었다.

요즘에 다른 나라 일부다처제를 실천하는 가족단위를 보면 제도의 취지는 아예 사라진 거 같다.

그리고 아래는 일부다처제가 없어진 것을 안타까워하는 학생들을 위한 선생님의 답변. jpg

ㅋㅋㅋㅋㅋㅋ

반응형

+ Recent posts